- 영문명
- Chile's country image in Kore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신철호(Cheol-Ho Shin) 하수경(Su-Kyung Ha) 김민성(Min-Sung Kim)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1호, 347~3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국문 초록
국경을 초월한 무한 경쟁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업, 제품 브랜드 이외에 이를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국가 브랜드, 국가 이미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가 이미지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한국에서의 칠레 국가 이미지조사를 통하여 국가 이미지 제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가 이미지 구성 요소로 정치, 사회, 문화, 경제를 선택하였고 항목별로 조사 변수를 추출하였다. 2차 자료 조사를 통해 객관적인 칠레에 대한 평가와 국가 이미지를 조사하여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칠레의 국가 이미지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괴리 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 자료 조사 결과 칠레는 사회, 정치적인 안정과 건전한 자유경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인 대상 설문 조사 결과 한국인은 칠레에 대한 뚜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낮은 인지도와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분야에 있어서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영문 초록
In a world of borderless competition the importance of a country's brand and its image, that supports the corporate and product brand, is growing. The study identifies structural elements in a country's image and conducts a survey on the country image of Chile in Korea. The study aim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improve a country's image. The study select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as structural elements that make up a country's image. Survey variants for each element is identified. An objective evaluation of Chile and its country image is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to conduct a gap analysis with the Chile's image as observed by Koreans.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Chile is a nation with political stability and a healthy free economic system. However,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on Koreans show that Koreans do not have a clear image of Chile. Also, Chile is not very well recognized among Koreans and is perceived rather negatively in terms of it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목차
Ⅰ. 서론
Ⅱ. 국가 이미지에 대한 문헌 연구
Ⅲ. 칠레 국가 이미지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