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개 광역시·도별 총 산업생산의 상대적 효율성 및 성장구조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Growth Structure for the Sixteen Metropolitan Cites and Provinces in Kore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박추환(Chuhwan Park) 한진미(Jin-Mi Ha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2권 제1호, 114~142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16개 광역시·도별 총 산업이 경제성장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운영을 하였는지를 DEA 분석방법을 통해 도출하고, 그리고 지역별 경제성장을 위한 주요 생산요소 즉, 노동, 자본, 연구개발(R&D)투자 등의 요인들이 지역별 경제성장 구조에 차지하는 영향을 포지셔닝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06년에 비효율성을 보이는 지역은 서울, 대전, 제주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역들은 2006년도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과 성장, 자본과 성장, 연구개발과 성장간의 포지셔닝 분석 결과, 경기도와 충남지역의 성장구조가 노동, 자본, 연구개발 면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구지역의 성장구조는 노동, 자본, 연구개발 면에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ve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Growth Structure for the sixteen metropolitan cites and provinces in Korea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iu, Daejeon, Ulsan, Gyeonggi, Gangwan, Chungchon-Bukdo, Chungchon-Namdo, Cholla-Bukdo, Cholla-Namdo, Kyongsang-Bukdo, Kyongsang-Namdo, Jeju) by the DEA approaches and Position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xcept Seoul, Deajeon, Jeju, others have improved the relative efficiency in terms of input and output since they were allocated. Also, by the Positioning approach for the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apital, and R&D investment via production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Gyeonggi, Chungchon-Namdo have effectively been managed, but Daegu is not.

목차

Ⅰ. 서론
Ⅱ. 지역경제 성장구조에 관한 국내외 문헌연구
Ⅲ. 16개 광역시 도별 총 산업 생산의 상대적 효율성 및 성장구조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추환(Chuhwan Park),한진미(Jin-Mi Han) . (2008).16개 광역시·도별 총 산업생산의 상대적 효율성 및 성장구조 분석. 국제지역연구, 12 (1), 114-142

MLA

박추환(Chuhwan Park),한진미(Jin-Mi Han) . "16개 광역시·도별 총 산업생산의 상대적 효율성 및 성장구조 분석." 국제지역연구, 12.1(2008): 114-14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