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and Contribution in Chin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종섭(Kim Jong-Sup)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5권 제2호, 151~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79년부터 2008년까지 30년 기간 동안 중국에 있어서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와 요소별 기여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적합모델을 선택하기 위하여 Hausman 검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금융변수(rsav)가 6개 모형에서 그리고 사회간접자본변수(rsoc)가 2개 모형에서 경제성장에 대해 부(-)의 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3개 변수는 전 모델에서 경제성장에 대해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노동력 변수의 영향은 서부지역과 동북지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여율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1인당경제성장률에 대한 각 성장요인의 의미를 찾았는데, 전국모형의 경우 자본의 기여율이 35.9%로 나타난 반면 노동기여율은 4.7%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모든 모형에서 자본(rcap)이 중국경제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duction factors on economic growth in China during 1979~2008. In order to grasp the determinant and contribution analysis, we take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and Hausman test to choic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finance variable (rsav) and SOC variable (rsoc)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except some models. But unimproved raw labor variable (rlab), physical capital variable (rcap) and education variable (redu) shows strongly positive effect for the same time. We found the meaning of coefficients of growth factors.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input to per-capita growth in China. The direct elative contribution of physical investment to per-capita growth gives 35.9 percent in total model (TMO) and unimproved raw labor contributes only 4.7 percent. In all modes, physical investment (rcap) wa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of predicted growth in China econom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특징
Ⅲ. 연구방법과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의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