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terminants of Labor Productivity in Service Industries: The Korean Cas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박추환(Chuhwan Par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6권 제4호, 185~2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1990년부터 2009년까지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을 1인당 부가가치와 총요소 생산성으로 나누어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1인당 부가가치 생산성에서는 전체 지역별 산업규모가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비교해보면 산업규모와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수도권의 탄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본적으로 자본이 축적된 지역에서 지역별 부가가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규모에 의한 수확체증이 있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총요소 생산성 측면에서는 수도권 지역보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산업규모와 규모의 경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지역의 경우 R&D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자본이 지역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즉, 이와 같은 산업구조에서 서비스업 생산성이 수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이는 지역소득의 격차를 가속화 시킬 주요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정부는 지역균형개발을 서비스업의 발전측면에서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앞으로 지역의 귀착 소득과 서비스업 생산성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방향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determinants of the productivity divergence in service industries from 1990 to 2009 with 16 provinces and metro-cities by using panel analysis.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with regional product (GRDP) and income in order to identify regional product incidence, but the variables are not exist to explain regional income formally. Therefore, private consumption and tax, as the candidate indicators of the regional income, are used to analyze the regional dispar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regional industrial causes significant effect to the value-added per capita and regional income disparities. This is because regional disparities of the capital in steady state are different by applying conditional convergence. Because of the productivity divergence in service industries, regional income disparities have widened. Hence the government has to revise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o develop regional service industries rather than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lso, it requires more study regarding income disparities and produ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16개 광역시도별 경제수준 및 서비스업 현황
Ⅳ. 이론적 모형
Ⅴ. 실증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