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ing Characteristics and the Gap of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Market Consumer in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李仁世 ( In Sei Lee )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2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35~2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래시장의 경쟁력 회복을 서비스품질 측면에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소비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서비스속성은 재래시장의 이용편리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품질에 가장 불만스러워 하는 분야는 시장과 상품의 신뢰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국소비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서비스 속성은 시장 신뢰성 요인으로 나타났고 중국소비자가 서비스품질에서 가장 불만족하는 분야는 이용편리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비교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젊은 층은 고객지향성과 신뢰성을 , 장년층은 감성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소비자와 한국소비자의 서비스 속성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한·중 양국에서 재래시장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재래시장의 국제화를 도모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e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service quality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and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Consumers expect convenience of use related attributes are most important in Korea. Second, Consumers regard the negative gap of actual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expected importance in merchant and product reliability related attributes as the most poor service quality in Korea. Third, Consumers expect merchant and product reliability related attributes are most important in China. Fourth, Consumers think the negative gap of actual satisfaction in comparison with expected importance in convenience of use related attributes are the most poor service quality in China. Finally, There exist differences for importance, satisfaction, using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in Korea and China traditional market between classified two age group.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necessary data as an useful management information to Korea and China for filling up various needs of customers and internationalizing traditional marke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