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fficient Frontier and Optimal Portfolio under Emissions Trading Schem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박순철(Soonchul Park) 조용성 /Cho, Yongsu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1호, 383~41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국문 초록
정부는 2015년부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형 배출권거래제(ETS)를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ETS 上의 의무준수를 위해 할당대상 업체가 이용가능한 배출권 상품의최적 포트폴리오(Optimal Portfolio) 구성에 관해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보다 앞서 운영 중인 EU ETS의 Phase 2 기간을 대상으로 할당대상은 배출권 상품을, 非할당대상은 다양한 상품들을 대상으로 효율적 투자선(Efficient Frontier)과 기대효용을 최대화하는 포트폴리오의 구성 비율을 추정하고, 주요 온실가스 多배출 업종의 ETS이행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효율적 투자선의 경우, 할당대상자는 배출권 상품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의 구성이타당하며, 스프레드의 활용이 중요하게 분석되었다. 반면, 非할당대상자는 배출권 상품만으로타당하지 않고, 에너지․금융 등의 다양한 상품으로 구성해야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기대 효용의 최대화를 결정하는데 상쇄 배출권의 활용상한 비율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실증분석 결과, 2008~2010년은 주요 참여업종의 EUA 사용비중이 낮지만, 2011~2012년은 높게 나타났다. 전자는 상쇄 배출권의 발행량 부족문제로 인해, 후자는 Phase 3부터변경되는 ETS 제도의 변화로 인해 Phase 2에서 Phase 3로의 이월 양을 높이기 위한 행위로해석된다. 본 논문은 할당대상과 非 할당대상을 구분하여 EU ETS와 한국형 ETS에서 적용 가능한 포트폴리오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실증분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Government has taken into force the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K-ETS) since2015 for implementing the national GHG mitigation targets. This study focus on efficientfrontier and optimal portfolio between allowance and offsets to implement compliance interms of participants in ETS. We estimate an efficient frontier and an optimal portfolio ratiofor the maximization of utility between operators and non-operators separately. The estimation results of efficient frontier shows that operator could be available tocompose portfolio with allowance and offsets and that spread is also important. However itisn’t reasonable for non-operator to invest the assets in ETS. Moreover upper limits ofoffsets is the main facts which make the decisions of optimal ratio of portfolio. The results of the optimal portfolio ratio analysis shows that the use of EUA is relativelylow during 2008~2010 because of lack of issues from offsets, and that the use of EUAcredits are relatively high between 2011~2012 because of the regulation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모형 및 자료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