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Investment Style and Performance of Domestic Equity Funds: Focusing on Public Offering and Private Fund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하연정(Yeonjeong Ha)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4호, 63~7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식형 공모와 사모 펀드의 투자 스타일과 성과를 비교하였다. 4요인 모형과 최근제시되고 있는 5요인 모형(Fama and French, 2015)을 이용하여 공모와 사모 펀드의 투자스타일 및 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모 펀드는 공모 펀드와 비교하여 시장을 추종하는 성향이 약하며, 소형 주식, 가치형 주식, 영업이익률이 높은 주식, 총자산증가율이 높은 주식에 더 많이 투자하였다. 둘째, 사모 펀드는 펀드별 투자 스타일에 차이가 컸다. 셋째, 4요인 및 5요인 모형의 결정계수가 낮은 사모 펀드가 알파(종목선택능력)는 더 높게 나타났지만, 펀드의 순수익률에서는 공모 펀드와 차이가 없었다. 넷째, 사모 펀드는 펀드별로성과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한 주식형 펀드라도 불특정 다수의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공모 펀드와 특정한 목적을 가진 소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집하는 사모 펀드의 투자 스타일 및 성과가 차이가 발생함을 보였다는 데에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investment style and performance of public and private equity funds. Using 4-factor and 5-factor models, we investigate the investment style and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equity funds have a weak tendency to follow the stock market comparing with the public equity funds and invest small, value, high profitability, high growth of total assets stocks more than public funds. Second, the private funds have large differences in investment styles between funds. Third, private funds that have low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4-factor and 5-factor have higher alpha (stock selection ability),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funds in fund net returns. Last, the private funds have large differences in fund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연구 방법론
Ⅲ. 실증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