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urship education on entrepreurial intention in Gangnueng are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최승호(Choi, Sueng Ho) 원성권(Won, Sung-Kwon)한성수(Sung Soo Ha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20권 제4호, 185~20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한국의 대학들은 학생들의 창업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은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창업강좌, 둘째는 창업관련 이벤트, 그리고 셋째는 제도적 지원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창업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강릉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강릉지역 대학생들 중에서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 1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에 설문조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제도 지원으로 창업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강좌, 창업관련 이벤트 및 멘토링은 대학생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강릉지역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는 창업공간제공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강릉지역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는 창업강의, 창업이벤트, 그리고 멘토링 등의 대학창업교육 효과가 미비하며 창업활동을 위한 실용적인 공간제공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지역과 표본의 수를 확장하면 상이한 결과의 가능성도 있기에 일반화에는 한계를 지닌다.

영문 초록

Korean universities has promote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three methods(entrepreneurship lecture, startup events, and institutional supports). This study examined that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how to affect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10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udy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Gangneung area during september 2016.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venturing space has a significant impact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ship lecture, start-up events, and mentoring does no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in Gangneung proved that entrepreneurship lecture, start-up events and mentoring did not affect the entrepreneurship intention. On the contrary, venturing space has a significant impact to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improv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needs practical assistance for start-up. This study has limitations have the generalization. The results are limited to Gangneung area, if this study has increase sample surveys or magnify area, it is possible to have produce different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델 및 가설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승호(Choi, Sueng Ho),원성권(Won, Sung-Kwon)한성수(Sung Soo Han) . (2016).대학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20 (4), 185-201

MLA

최승호(Choi, Sueng Ho),원성권(Won, Sung-Kwon)한성수(Sung Soo Han) . "대학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20.4(2016): 185-20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