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Science Dista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숙(Cho Hye Sook) 남정희(Nam Jeo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5호, 681~69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 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문항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원격수업의 교육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5단계 리커트 척도의 11개 문항과 인식을 위한 선택형 및 의견제시의 6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회수된 응답지 220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반응하였거나 응답을 누락한 38부를 제외하고, 총 182부의 자료를 SPSS 18.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교육 요구는 학생들의 집중도, 참여도,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학생과 교사와의 상호작용 및 학생과 다른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 및 스스로 참여하여 노작활동 등을 하는 수업과 교사의 피드백 중 댓글과 실시간 피드백을 원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과학 원격수업의 개선과 함께 교사의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의 개선 전략에 대한 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the present implementation level and students' perceptions that affects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tance learn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 city. This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items on a 5-step Likert scale for educational needs and 6 items of choice and free responses for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science distance learning. A total of 18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excluding 38 data that responded unreliable or omitted responses out of 220 responses.
Results As a result,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of science dista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were prioritized in the students' concentration,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as well as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and other stud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of distance learning based on students'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tance classes, students wanted real-time interactive science distance classes, self-participating classes, and comments and real-time feedback of teachers' feedback.
Conclusion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science distance learning classes and for proposing the design of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s on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ers' classes of science dista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