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Model for Academic Probation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심효진(Shim, Hyojin) 김정섭(Kim, JungSub)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5호, 401~4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ADDIE모형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 모형 초안 개발 단계에서 문헌분석을 통해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의 과정과 세부내용, 접근방법을 도출하고, 모형의 각 핵심요소들이 체계적으로 계열화 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적용 단계에서 개발된 모형 초안을 실제 대학 현장의 학사경고자에게 적용하여 모형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학사경고자 22명(실험 11명, 통제 11명)의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인 효과분석을 위해 매회기마다 참여자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개입에 반영하였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모형 초안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 완료 단계에서 전문가 형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모형을 개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형은 학사경고 극복과정과 학업정서, 학업적 정서조절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였다. 둘째, 본 모형은 학습전문가가 학사경고자의 학업적 정서조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였다. 셋째, 본 모형은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을 위해 접근방법에 따라 4x3 매트릭스 형태의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본 모형은 학사경고자의 학업정서를 고려하여 학업적 정서조절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사경고자의 정서적 특성과 학습전문가의 경험 및 요구를 충분히 반영함으로써 실제 학습전문가가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개입 시 활용 가능한 모형을 개발한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model for academic probation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First, in the draft model development stage, the process, details, and approach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r academic probation student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each key element of the model was designed so that it could be systematically sequenced to develop a draft model. Secon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developed preliminary model was applied to academic probation students of actual university site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The results of ANCOVA of 22 academic probation students(11 experiments, 11 control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participants' evaluation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intervention.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verified the usefulness and value of the preliminary model. An expert forma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composed of nine learning experts. The output from the implementation was reviewed and the value of the developed model was evaluated. Finally,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model.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this model organically linked the academic warning overcoming process, academic emotion,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cess. Second, this model suggests a systematic procedure for learning experts to effectively solve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problem of academic warnings. Third, this model presented a 4x3 matrix type of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pproach fo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urth, in this model,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as cyclically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emotions of the academic warning.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veloping a model that can be used by actual learning experts to intervene i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for academic warnings by fully reflect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learning expert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 model that can be used by actual learning experts to intervene i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for academic probations by fully reflect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robations an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learning exper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