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for preparing guidelines of instructors’ oral feedback on undergraduate students’ collaborativ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혜연(Hyeyoun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295~33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및 협동 작문에 대한 피드백은 그 의의와 필요성에 비해 현장 실천 및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협동 작문에 대한 교수자의 면대면 구두피드백의 실행 지침을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실행 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두 차례의 실행을 거쳐 최종 피드백 지침을 마련하였다. 15명의 참여자들이 2인 1조 6개 모둠, 3인 1조 1개 모둠으로 나뉘어 협동 작문을 실시하였으며, 해당 과정 산물 및 결과물을 기반으로 실시된 모둠별 구두 피드백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피드백 녹취본, 참여자의 협동 작문 산물과 피드백에 대한 자기 보고, 그리고 교수자의 피드백 수행일지가 수집되었다. 연속적 비교법에 의거하여 각 실행 회차별 자료들이 분석되었으며, 1차 실행 계획은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로부터, 2차 실행 계획은 1차 실행의 결과 및 성찰로부터, 그리고 최종적인 피드백 실행 지침은 2차실행의 결과 및 성찰로부터 도출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일방적인 의사소통을 지양하고 대화로서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한편, ‘협상’과 ‘비계’의 두 축을 잘 조화시키는 방향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2차에 걸친 실행과 성찰 과정을 통해, 협동 작문에 대한 구두 피드백의 최종 지침은 모둠별 피드백으로서 상호 의사소통의 기회를 더욱 확대하기 위하여 학습자 간 소통 및 협동 경험에 대한 생각 나눔과 관련된 지침을추가하였다. 또한 교수자의 견해에 학생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가급적 학생 의견을먼저 청취하는 한편, 교수자 조언의 일방적 전달로 여겨질 수 있는 지점들을 최소화하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차원의 성격을 더욱 살리기 위한 세부 지침 및 학생의 추가 반응을 독려하기 위한 지침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relevant field practice and research on the instructors’ oral feedback and feedback on collaborative writing are lack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pare guidelines for the instructors’ face-to-face oral feedback on collaborative writing. To this end, an action research approach was introduced and the final feedback guidelines were yielded through two executions.
Fifte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two people and one group of three people. They performed collaborative writing and participated in oral feedback for each group based on their writing activities. Feedback transcripts, self-reports of the participants’ collaborative writing products and feedback, and the instructor’s feedback performance log were collected. The initial guidelines were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avoiding one-sided communication and harmonizing the two axes of ‘negotiation’ and ‘scaffolding’. The final guidelines were derived from two executions, which further expand opportunities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enhance the dimension of sharing thoughts and idea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