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and grievances of nursing teachers' rest hours in the head of nursry, daycare den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혜경(Kang, Hye-kyeongA) 문혁준(Moon Hyuk J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917~9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휴게시간 의무화 운영으로 인한 의미와 고충을 탐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서울 소재 어린이집 원장 7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해 전사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휴게시간 운영의 경험에 대한 전체적 맥락을 파악하고 관련된 경험을 탐색하여 이 구조를 드러낼 수 있는 주제 모음을 범주화하여 최종 4개의 주제 모음과 10개의 구성의미를 도출하였다.
결과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휴게시간 의무화 운영의 의미와 고충은 총 4개의 주제 모음과 10개의 구성의미가 도출되었다. 휴게시간 운영의 의미는 첫째, 교사의 프라이빗 시간의 확보, 쉼으로 인한 에너지의 재충전을 통한 보육교사 복지의 질 제고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은 휴게시간 운영을 통해 보육교사의 휴식은 권리이자 확보라는 학부모와 원장 자신의 긍정적 인식 변화를 의미 있게 생각하였다. 휴게시간 운영의 고충은 첫째, 어린이집 운영자인 원장의 입장을 헤아리지 못한 기관 운영의 어려움과 보육교사의 눈치를 보는 원장, 그리고 영유아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으로 인한 휴게시간 제도와 실천 사이 원장의 운영능력과 그로 인한 구성원과의 관계 어려움이었다. 어린이집 원장이 생각하는 휴게시간 고충의 두 번째 어려움은 휴게시간에도 끊임없이 업무를 처리하고 영유아 개별 보육으로 인해 교사의 간헐적 휴식과, 담임교사의 휴게 보장을 위해 대체된 보조교사의 업무 미흡으로 인햐 업무와 쉼의 모호한 경계로 그저 듣기 좋은 허상이 될 수 있는 휴게시간 의무화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은 경영자로서 법적 제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 강화와, 교사와 원장은 휴게시간 관련 제도에 대해 서로가 더 숙지 및 적용하는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하고, 교사의 휴일과 휴게 등 더욱 많은 혜택을 주어야 하며, 휴게시간 운영에 대한 꾸준한 실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and difficulties of the head of the daycare center due to the mandatory operation of rest time.
Method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21 with 7 principles of child care centers in Seoul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laizzi (1978). Data analysis is used by the phenomenological rearch method of Colaizzi (1978) to repeatedly read the transcribed content, also grasp the overall context of the experience of operating break time, explore related experiences. therefore a collection of topics is categorized, so that can reveal this structure and finally Four thematic collections and ten constructive meanings were derived.
Results A total of 4 themes and 10 compositional meanings were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grievance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 thought about daycare center teachers' compulsory rest time operation. The meaning of the break time operation was shown to firstly secure private time for teach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fare of childcare teachers by recharging energy through rest. Secondly, the director of the daycare center considered it meaningful to change the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s and the director himself that childcare teachers have a right and secure a rest time through break time operation.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break time are. First, the difficulty of operating an institu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position of the director who is the operator of the daycare center, the director who takes notice of the daycare teachers, and the operational ability of the director between the break time system and practice due to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 result, relationships with members were difficult. The second difficulty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 is that he constantly handles work even during breaks, intermittent breaks time for teachers due to individual childcare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lack of work of assistant teachers replaced to ensure breaks for homeroom teachers. It appeared as an obligatory break time, which could be just a pleasant illusion due to the ambiguous boundary of res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the child care center principle should build a partnership that strengthens his/her ability to flexibly respond to the legal system as a manager, and the teachers and directors are more familiar with applying the break time-related system etc., should be given more benefits, and it is considered that a continuous fact-finding survey on the operation of break time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