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Perceived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nxie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희(Kyounghee Bark) 조한익(Han Ik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769~7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군 병사가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K도에서 복무중인 남자 병사 231을 연구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불안 척도가 포함된 설문이 배부, 수집되어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주요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은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은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사회불안의 관계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군 병사의 사회불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용 촉진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er'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nxiety.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gathered from 231 male soldiers serving in K province. The questionnaire included perceived parents' negative attitude scal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and social anxiety scal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function of SPSS Process Macro.
Results First, it appeared that soldiers perceived negative parents' paren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nxie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anxiety, and the perceived parents' negative parent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negative parenting and social anxiety.
Conclusions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anxiety level of soldi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