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Smoking, and Drinking on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숙자(Sook Ja Moon) 황은정(Eun Jeo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395~40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신체활동, 흡연, 음주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 연구는 ‘2019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 총 7,5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 3,997명(52.8%), 여자 3,567명(62.5%)이 참여하였다. 연령은 19-22세 5,405명(71.5%)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연령은 21.48세(±21.00)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결과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 간에 우울경험 여부, 격렬한 운동, 중증도 운동, 걷기 운동, 유연성 운동, 하루 평균 흡연량, 음주량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남자대학생은 하루 평균 흡연량(OR=0.96, 95% CI=0.94-0.99)과 음주량(OR=2.58, 95% CI=1.03-6.45)이 우울 경험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자 대학생은 우울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격렬한 운동(OR=3.93, 95% CI=1.41-10.98), 걷기운동(OR=0.35, 95% CI=0.17-0.71), 하루 평균 흡연량 (OR=0.88, 95% CI=0.82-0.93)이 우울 경험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COVID-19로 인한 대학생들의 활동력 저하, 대인관계 제한 등으로 우울감은 더욱 증가한다 하였다. 대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건강증진 활동을 통해 우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바람직한 우울증 대처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smoking, and drinking on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564 college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997 men (52.8%) and 3,567 women (62.5%) participated. The most common age was 19-22 years old with 5,405 (71.5%). The average age was 21.48 years (±21.0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strong exercise, moderate exercise, walking exercise, flexibility exercise, average daily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p<.001).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verage daily smoking amount (OR=0.96, 95% CI=0.94-0.99) and drinking amount (OR=2.58, 95% CI=1.03-6.45)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for depressive experiences in male university student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experienc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trong exercise (OR=3.93, 95% CI=1.41-10.98, walking exercise (OR=0.35, 95% CI=0.17-0.71), and average daily smoking amount (OR=0.88, 95% CI=0.82-0.93)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Conclusions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on the rise due to the decrease in activity levels and restriction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ause of COVID-19. It is necessary to motivate university students to relieve depression through desirabl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to devise desirable countermeasures for de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