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eedback Content on Lesson Plan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e World Regional Geography Unit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호욱(Lee, Ho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217~2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국문 초록
목적 예비교사가 처음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을 분석하여 문제 양상을 알아보고, 피드백 유형별로 적절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방법 예비교사는 초등 사회과 세계지리 단원을 대상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들 수업지도안을 검토하여 예비교사에게 제공된 총 475개의 교수자 피드백에 대해 상호 유사한 주제의 피드백 내용끼리 분류하는 주제 분석 방법으로 피드백 내용을 유형화하였다.
결과 상위 유형으로는 성취기준의 이해,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 활동의 도입 단계, 교수 활동의 전개 단계, 교수 활동의 정리 단계 등 5개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주요 하위 유형에는 교수학습 활동의 지도, 차시 구성과 계획, 단원 표기, 성취기준의 번호 체계 인식, 상세한 설명 방식, 학습 주제의 타당성, 전시학습 확인, 학습 목표의 서술, 영상 길이 고려, 시량 고려 등 10개가 있었다.
결론 예비교사가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면서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양상과 이에 대응한 지도 방안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수업설계의 전문성은 교사의 전 생애주기와 경력단계에 걸쳐 장기적으로 형성되는 역량이다. 예비교사의 준비도와 경험 정도가 낮더라도 이들에게 적합한 목표와 방식으로 지도한다면,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nalyzed feedback on lesson plan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PSTs) for the first time, identified problem patterns, and sought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each type of feedback.
Methods PSTs designed lesson plans for the world regional geography unit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After reviewing them, a total of 475 cases of instructor feedback provided to PSTs were categorized by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hat classifies feedback content according to similar topics.
Results In top categories, there were 5 types: understanding of achievement standards, curriculum reconstruction, introduction of instructional activities, body of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conclusion of instructional activities. There were 10 sub-types appeared frequently: guidance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mposition and planning of lessons, unit marking, recognition of the number system of achievement standards, detailed explanation methods, validity of learning topics, confirmation of prior lesson, description of learning objectives, playing time of video clip and allocation of time within lesson.
Conclusions Various difficulties that PSTs may experience while preparing lesson plans and guidance methods in response to them were examined in detail. The professionalism of instructional design is a competency that is formed in the long term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and career stage of a teacher. Even if the level of preparation and experience of PSTs is low,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can be achieved if they are guided with goals and methods suitable for them.
목차
Ⅰ. 서론
Ⅱ.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활용과 구성 요소
Ⅲ. 수업지도안에 대한 연구 방법
Ⅳ.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내용 분석 결과
Ⅴ. 논의: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 작성 지도 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