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Theoretical Study and Therapeutic Suggestion on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Single Mothers: Focusing on Psychodynamic Theori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애(Eunae Ko) 김혜정(Hyej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183~2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을 정신역동 이론을 통해 고찰하여 효과적인 치료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미혼모의 심리 사회적 경험을 분석하였고, 둘째, Freud의 정신분석 이론, 대상관계 이론, 애착 이론을 바탕으로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결과 드러난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 발달에 대한 대안적 개입으로 PCIT(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를 제안하였다.
결과 파트너가 부재한 상황에서 홀로 자녀를 양육하며 신체, 심리, 사회적 취약성을 가진 미혼모들의 자녀양육 상황은 정신역동 이론의 관점에서 탐색해 볼 때, 자녀의 심리 발달 환경에 한계점으로 작용하며, 이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가 치료적 개입으로 제시될 수 있다.
결론 끝으로 이상에서 고찰된 미혼모 가정 아동의 심리발달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single mothers through psychodynamic theory and to provide therapeutic sugges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first,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single mothers were analyzed. Second,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single mothers was analyzed based on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Object Relations theory, and Attachment theory. Third, PCIT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intervention to promote the healthy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single mothers.
Results Single mothers hav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vulnerabilities for raising their children alone in the absence of a partne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dynamic theory, the psychosocial situation of single mothers acts as a limiting point for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of single mothers,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supplementing for their vulnerabilities are required.
Conclus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were introduc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