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ritten Spelling in Patients with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and 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2, 297~31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피질하 혈관성 치매(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SVaD)와 피질하 혈관상 경도인지장애(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svMCI)의 철자처리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는 SVaD 10명, svMCI 15명, 정상 성인군(normal controls, NC) 30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과제에 앞서 사전 검사로 K-MMSE, MoCA-K, 건강선별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후 단어 유형별(규칙단어, 불규칙단어, 비단어)로 각 20개씩의 단어를 들려준 후 받아쓰게 하였다. 그 후 집단 간 목표단어에 대한 정반응 수와 오류 양상의 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집단 간 단어 유형별로 규칙단어와 불규칙단어는 NC에 비해 svMCI와 SVaD가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 수를 보였다. 또한, 불규칙단어에서 svMCI에 비해 SVaD가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 수를 보였다. 비단어는 NC와 svMCI에 비해 SVaD가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 수를 보였다. 둘째, 집단 간 오류 유형 수의 비교로 자소대치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소첨가와 자소생략은 NC와 svMCI에 비해 SVaD가 유의하게 많은 오류를 보였다. 셋째, 집단 간 PIE 오류는 NC와 svMCI에 비해 SVaD가 유의하게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PPE 오류는 NC에 비해 svMCI와 SVaD가 유의하게 많은 오류를 보였다. 넷째, 비단어 내의 어휘화 오류는 SVaD에서만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svMCI에 대한 조기감별을 위해서는 불규칙단어 수행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lling processing patterns in patients with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SVaD) and 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svMCI).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 patients with SVaD, 15with svMCI, and 30 normal controls (NC) subjects. Prior to this study, Korean-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K-MMS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and health screening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s pre-tests. After that,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20 words grouped according to word type (regular word, irregular word, non-word), and then they were asked to dictate the words they heard. After the tests were complet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the number of error pattern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First, by word type between groups, the svMCI and SVaD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correct responses for regular and irregular words compared to the NC group. In addition, the SVa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forward responses than the svMCI group in irregular words. Non-wor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forward responses in the SVaD group compared to the NC and svMCI groups.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error types between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grapheme substitution; and the SVa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compared with the NC and svMCI groups in addition and omission of graphemes. Third, the SVa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in comparison to the NC and svMCI groups for phonological implausible errors, and the svMCI and SVa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than the NC group for phonological plausible errors. Fourth, lexicalization errors within non-words were observed only in the SVaD group. Conclusion: For early detection of svMCI,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rregular word performanc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