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of the Validation for Children’s Social Communication Scale for Children Aged 6-7 Yea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2, 264~280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장애와는 구별되는 사회적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는 다양한 대상자들의 분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아동의 사회적의사소통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적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은 초등학교 입학 후에 학교생활에 잘 적응에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의사소통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임상에서 요구되는 아동 발달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1에서는 사회적의사소통 평가 구성요소인 사회인지와 화용언어, 그리고 사회적기술을 측정하는 평가 문항들을 수정하여 사회적의사소통척도(SCS)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예비검사 결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2에서는 SCS 전문가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사회적의사소통 문항을 완성하였다. 결과: 문항분석을 통해 사회적의사소통척도 51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SCS는 사회인지 영역에서 16개 문항, 화용언어 영역에서 24개 문항, 사회적기술 영역에서 1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논의 및결론: 국내 학령기를 준비하는 아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사회적의사소통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번 예비 타당도 연구결과가 사회적의사소통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임상현장에서 국내 아동의 사회적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Despite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children showing deficiencies in social communication that are distinct from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rest in social communication has not increas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acts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adapting well to school life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l communication scale regarding child development indicators required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In phase 1 of this study, a preliminary social communication scale (SCS) was conducted by modifying evaluation items that measure social cognition, pragmatic language, and social skills. Using the results from the SCS, an item analysis was conducted. In phase 2 of this study, an exper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to complete the final SCS. Results: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51 items of the SCS were extracted. The SCS consisted of 16 questions in the social cognition area, 24 questions in the conversational language area, and 11 questions in the social technology area. Conclusion: The SCS is comprised of questions that can evaluate the soc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preparing for to enter school, and early school-age childre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stud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social communication research and can help provide directions for improving children’s social communication in clinical practic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