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839~85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G시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22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유아의일상적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고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회복탄력성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회복탄력성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하여 일상적 스트레스의 감소 및 회복탄력성의 발달 실제에 관한보다 실질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6 children aged 5 years from G c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was examined. Next,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resilienc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more practical studies on the reduction of daily stress and improvement of resilience are continuously needed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