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aning of Play Experience in Material Intra-ac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803~82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에서 물질과의 내부작용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K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8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조별로 놀이매체를 선정하여 놀이를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놀이경험에 대한 조별발표 및 토론이 이루어졌다. 개별적인 저널작성, 놀이경험 녹화영상과 조별발표자료 및 연구자일지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고 질적 분석되었다. 결과 예비교사의 물질과 내부작용하는 양상은 첫째, 물질과의 마주침을 통해 놀이주체자 되기, 둘째, 차이나는 반복으로 배움있는놀이되기, 셋째, 유모어와 상상력과 얽히며 유일한 놀이로 탈주하기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놀이경험의 의미는 놀이맥락 안에서물질성 경험하기와 ‘나’로 놀아보기를 통한 놀이본질 사유하기로 분석되었다. 결론 예비교사의 직접적인 놀이경험은 물질과 내부작용하는 다양한 관계성의 놀이를 경험하게 하였으며, 나아가 놀이의 본질에 대하여 사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로써 놀이중심의 유아교육과정의 안착을 위하여 모의수업 중심의 예비교사교육을 지양하고, 예비교사들이 직접적으로 놀이를 경험하고 공유하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 and appearance of material intra-action in play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students took the course ‘instructional principles on subject area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third grade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in Deugu. The participants in groups chose which material is played and had time to play with the materials. The data was collected in various ways through photography and video, the reflective journals, field notes, and research diaries. Results The appearance of intra-action with materials is to become a play-agency through encountering the complex signs, a competent player with different repetitions, and breakout of play with entanglements of humor and imagination. The play experience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y to entangle with materials and to contemplate the nature of pla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y process in which pre-service teachers explore materiality is truly the nature of play and found the value of play in exploring materiality. For the settle down of children-led play, which is no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research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experience not simulation classes but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nature of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