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entrality of Even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Traumatized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791~80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596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주관적 고통의정도를 보통 이하라고 응답한 217사례를 제외한 596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 외상 사건 목록질문지, 사건중심성 척도 한국판,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개정판,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사건중심성과 정신화는 부적 상관을,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신화가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사건중심성과 외상 후 성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건중심성이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신화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외상 사건으로 힘들어하는 내담자들에게 정신화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Methods An online/off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596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596 ca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217 cases who responded insincerely or answered that their subjective pain level was below normal. Data were collected from 596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 the trauma event inventory questionnaire, centrality of event scale-korean version,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Results First, centrality of eve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ntalization, and centrality of ev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mentaliz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mentaliz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rid, centrality of event had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mentalization in the process of event centrality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entalization can help cli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raumatic events in the counseling sce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