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for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659~6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여 그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방법 G도에 위치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전국 시도교육청 소속의 초등 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진행하였고, 210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3.0 for Windows를 이용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 교사들은 플립러닝 체육수업은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플립러닝 체육수업의 취지와 목적에 대해 ‘미래 교육을 위한 시대적요구 반영’과 ‘학습자 중심 활동 전개를 위한 시간 확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플립러닝 체육수업 운영에 있어 ‘수업 설계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교사 역량이 요구된다는 인식이 컸다. 또한 초등 교사의 17.6%가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경험하였는데, 주로 경쟁영역과 도전영역을 중심으로 지도하였고 운영 기간은 주로 6개월 내외였으며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운영했을 때 기존 체육과 수업보다 높은 효과를 봤다고 인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플립러닝 체육수업은 교육적 효과가 크기에미래 체육교육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함양이 시급한데 교과 연구회, 연수 등을 통해 실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원활한 운영을 위해 디지털 윤리교육, IT인프라 구축과같은 제반 환경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결론 플립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경험과 인식은 확장되고 있으나 실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 구축이 뒷받침되어야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f 2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focusing on teachers teaching in the G Province, and 210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for Windows. Resul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necessary, and a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responded to the purpose and purpose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for future education’ and ‘freeing up time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re was a strong perception that the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required teacher competencies such as ‘class design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17.6% of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were mainly taught in competitive and challenging areas, and the duration of operation was mainly around 6 months, and the operation was recognized as having a higher effect than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and classes when managing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a high educational effect and sufficient meaning to be an alternative to future physical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urgent for teachers to develop their ability to design lessons,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e can be enhanced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faculty training, etc. Third,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systematic preparation is necessary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environment such as digital ethics educ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IT infrastructure. Conclusions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expanding, but they must be supported by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that increases their vi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