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603~6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전라남도의S 어린이집 학부모 15명(실험집단)과 H 어린이집 학부모 15명(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은 영아 부모를 위한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비교집단은 자유롭게 가정에서 자녀에게 책을 읽어주었다. 실험 처치는 대면과 비대면 방식으로 2021년 7월 19일부터 9월 17일까지 8주 동안 총 15차시에 걸쳐 시행되었다. 결과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해 영아 부모가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양육효능감을 향상하며 자녀의 언어발달을 도모하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어휘력 등이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부모의 양육효능감과부모-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어휘력 등을 향상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영아발달을 도모하고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Researchers develop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 5-step proc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from fifteen parents of S preschool(experimental group) and fifteen parents of H preschool(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he parents of the comparative group read books to their children at home freely.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from the 19th of July to the 17th of September in 2021 using a contact or contact-free way. Result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to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effectively, to improve maternal efficacy, and to promote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parents’ maternal efficacy,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young chidlren, and young children’s vocabulary were meaningfull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ward increasing parents’ maternal efficacy,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young chidlren, and young children’s vocabulary by demonstrat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t wa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an eff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increase parents’ maternal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Ⅲ.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