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Changes in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Factors of Children and Par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541~5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 유형에 따른 입학 전 시기의 아동 및 부모 요인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7세)와 8차(8세) 자료(N=1,469)를 사용하였고, 군집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초등 전환기를 거치며 아동의 행복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은 높음 유지형, 상승형, 극단적 감소형, 낮음 유지형, 감소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 사회적 기술, 부모 양육행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달랐다. 구체적으로 높음 유지형, 상승형이 극단적 감소형에 비해 학교준비도가 높았으며, 높음 유지형이 극단적 감소형에 비해 사회적 기술을 더 잘 사용하였다. 또한 높음 유지형, 상승형, 감소형의 부모가 극단적감소형보다 더 온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높음 유지형이 극단적 감소형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으로의 행복한 전환을 위한 지원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to identify the preschool factors in relation to children and parents. Methods The 7th (seven-year-old) and 8th (eight-year-old) year data(N=1,469)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s happiness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patterns of change in children’s happiness were classified into high-maintenance, low-to-high, extreme high-to-low, low-maintenance, and high-to-low. Third, the aspects of an individual child’s school readiness, social skills, parent’s parenting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were significantly among clusters. Specifically, school read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maintenance or low-to-high than in extreme high-to-low; social skill was higher in high-maintenance than in extreme high-to-low. Children in groups of high-maintenance or low-to-high or high-to-low had higher levels of affective parenting in preschool period compared to that of extreme high-to-low. High-maintenance children were higher in positive parent inter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rationale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 approach that would support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