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on Career Resilience through Sequential Mediation of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475~4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직업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 대학생들의 진로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기업가정신이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통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생 824명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과 형식학습, 무형식학습, 진로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SPSS 22와 PROCESS macro 3.3을 이용하여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기업가정신은 진로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은 기업가정신과 진로탄력성의 관계에서 각각매개효과뿐만 아니라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가정신의 혁신진취성은 진로탄력성의 개인적요소와 직무적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사회적요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은 진로탄력성의 개인적요소, 직무적요소, 사회적요소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 진로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업가정신의 효과에 관한 학문적 연구의 폭을 확대하여 청소년 및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을 높이기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기업가정신과 학습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an era of increasing uncertainties in the vocational society,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career resilience was analyzed through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to increase career resilience. Methods To this end, 824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were tested to measure entrepreneurship, formal learning, informal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bootstrap using SPSS 22 and PROCESS macro 3.3. Results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resili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had not only a mediating effect but also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In addition, the innovative initiative of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and job factors of career resilience, but did not affect the social factors. The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sonal, job, and social factors of career resilience. Conclusions By confirming that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affects formal learning, informal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the scope of academic research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was expanded, suggesting implications for youth and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and learning was proposed as a specific method to increase career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