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ultiple-Group Meta-Path Analysis of Defend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School Community, Peer Relationship, and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411~4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채택된 생태체계와 개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초⋅중등 전체와 함께 학교급 별로 다집단 메타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변인인 학교공동체의식, 또래관계가 개인 변인인사회⋅정서역량을 매개하여 방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각 요인 간 직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생태체계 요인과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개인이 학교급에 따라 매개효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21년 6월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학술지(29편) 및 석⋅박사 학위 논문 및 등재후보지를 대상으로(28 편) 다집단 메타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경로분석의 순서는 각 연구 간의 상관을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해서 평균 상관값인 합동상관행렬을 구한 후 이를 경로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직⋅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전체와 중등 집단을 대상으로 한 메타경로분석은 학교공동체의식 요인, 또래관계 요인, 사회⋅정서역량 요인, 방어행동 요인간 모든 경로에서 직⋅간접 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하지만 초등집단에서는 학교공동체의식과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정서역량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지만 또래관계와 방어행동의 관계에서는 사회⋅정서역량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공동체의식과 또래관계라는 환경적 요인이 개인의 사회⋅정서역량을 거쳐 방어행동을 일으키는데 있어 초등과중등학생이 경로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and its embedded ecological systems using multi-group (primary vs. secondary) meta-path analysis.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was determined in the path model of connecting environmental variables of sense of school community and peer relationship to defending behavior. Finally, we teste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the entire group differed by school level (primary vs. secondary). Methods A multi-group meta-path analysis was conduct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29 article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candidates for entry journals (28 articles) from 2007 to June 2021. Two-step processes were performed for meta-path analysis (a)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that is, a pooled correlation matrix was obtained using the random effect model fo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tudy, and (b)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examined using meta-path analyses. Results In the meta-path analysis for entire and middle school studen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in all paths among the sense of school community factor, the peer relationship factor,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e factor, and the defending behavior factor. Howev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mediated fu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school community and defending behavior. Still, social-emotional compete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 and defending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different pathways in the model in which sense of school community and peer relationship impacted the defending behavior through individual social-emotion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