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study trends on Korean ten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147~1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발표된 시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최종 분석 대상 논문은 학위 논문 111편, 학술지 논문 61편 총 172편이며, 분석 대상 논문을 연구 시기별, 연구 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 내용별로 정리하여 각 범주의 하위 분석기준 틀에 맞추어 분류하였다. 분류된 자료를 내용 요약, 빈도 분석, 수치 통계와같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면밀하게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30여 년간 시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었으며 양적인 성장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제 표현 교육 방안 연구와 시제 표현 습득 연구 등의 주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연구 방법에서는 문헌 연구 방법과 조사연구 방법에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 또한 한국어 과거 시제를 다루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장 종결 위치에 실현되는 시제 표현을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과제를 몇 가지 제안하였다. 먼저 시제 연구 주제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또한 현재시제, 미래 시제를 관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복합문 시제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시급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studies on tense in the education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future research subjects were presented. Methods The number of papers of the subject of analysis is totally 172 papers, including 111 graduate theses and 61 articles of academic journal.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means of research times, research theme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and then according to lower standard of analysis, these papers were classified. By making the use of analysis methods such as summary of content, frequency analysis, and data statistics, the trends of studies were analyized. Results As a result, for over 30 years the researches on tense have been steadily ongoing in the education field in Korean language and quantitative growth of this field has been achieved. Studies on the educational plan of tense expressions and on tense expression acquisition have been main subjects in this period. Research methods have been unequally biased in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ones. The most studies are especially related to the past tense in Korean language and tense expressions realizing at the end of sentences. Conclusions By analyzing these research trends, several tasks of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First, themes of tense research need to be diversified. In addition, studies observing the present tense and the future tense are necessary and studies on complex sentence tense are also urgently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시제 연구 동향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