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28
- 영문명
- The effect of Habruta learning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commitment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17~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효과적인 간호실무 수행에 필수 요소인 전공기초과목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을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실시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에 재학중인 2학년 간호대학생 57명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을 10주간 적용하였다. 하브루타 학습법 적용전⋅후 대상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비판적사고 성향을 조사한 단일군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종속변수의 효과 분석은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하브루타 학습법 적용 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3.73, p<.001)이 증가하였고, 하위영역의 학습계획(t=2.10, p=.040), 학습평가(t=29.72, p<.001)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t=2.39, p=.020)은 하위영역의 자기조절 효능감(t=2.47, p<.017), 자신감(t=2.28, p<.026)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습몰입(t=3.30, p=.002)은 하위영역의 몰입조건 (t=2.70, p=.009), 몰입경험(t=3.27, p=.002)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판적사고 성향(t=2.13, p=.038)은 하위영억 체계성(t=2.48, p=.016)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학 전공기초교과목에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비판적사고 성향이 향상되었다. 추후 다양한 간호학 온라인 수업에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the Habruta learning method in an online clas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basic major subjects, which are essential for effective nursing practice. I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second-year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and the Habruta learning method was applied for 10 weeks. This is a single-group pre- and post-primitive experimental study that investigat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 and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Habruta learning method. IBM SPSS WIN 26.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effects of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3.73, p<.001) increas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Habruta learning method, and the learning plan of the sub-domain (t=2.10, p=.040), learning evaluation (t=29.72, p<.00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ademic self-efficacy (t=2.39, p=.020) was sub-domain self-regulation efficacy (t=2.47, p<.017), confidence (t=2.28, p<.026).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learning immersion (t=3.30, p=.002), the immersion condition (t=2.70, p=.009) and immersion experience (t=3.27, p=.002) of the sub-domai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critical As for the thinking propensity (t=2.13, p=.038), the lower-order memory systemicity (t=2.48, p=.016)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By applying the Habruta learning method to the nursing major basic subject in the online clas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 and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nursing students were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o various online nursing online classes to confirm the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