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bination and Evolution of the Metaverse and its Contents: Southeast Asia K-Contents Marke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7卷 第2號, 281~2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2020년 시작된 COVID-19에 의한 팬데믹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비대면 경제를 활성화시키면서 언텍트산업의 성장에 기여하였는데 여기에 가장 대표적인 영역으로 등장하는 것이 메타버스이다. K-콘텐츠의 경우 또한 비대면 사회로의 대전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 동안 해외시장 진출에서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여주었고 특히 2021년은 전 세계적으로 K-콘텐츠를 향한 관심이 집중된 한 해였다. 이에 본 연구는 COVID-19가 비대면 언텍트시대를 앞당기면서 가져온 메타버스의 진화와 함께 콘텐츠 분야에 가져올 변화와 영향력을 고려하여 K-콘텐츠와의 결합을 통한 연관성을 바탕으로 K-콘텐츠, 즉 한류가 동남아 시장에서 수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게임, 음악과 방송, 패션 등에서 새로운 콘텐츠 모델로 부상하면서 콘텐츠 공유 수단을 넘어 사회적 연대와 소속감을 길러주는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가상의 아바타가 참여하는 버추얼 콘서트, 게임 속 가상세계, 가상의 결혼식 등 K-콘텐츠는 메타버스와 결합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 영역을 만들어가고 더욱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 예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find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port of K-contents can be further activated in the Southeast Asian market through the combination and evolution of the metaverse and its cont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pproaches the concept, technical theory, and business perspectives of the metaverse through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data related to K-contents are divided into one domain for contents and another domain for service trades, with research focused on a literature search.
Results : K-contents and the metaverse require a segmentation strategy that provides K-content experience opportunities to global content fa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ntent system.
Conclusions : Exports of K-content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and extensive in the Southeast Asia market, and will become a new business model in which the real and virtual worlds converge.
목차
Ⅰ. 서 론
Ⅱ. 메타버스의 진화
Ⅲ. K-콘텐츠와 동남아 콘텐츠시장
Ⅳ. 동남아 K-콘텐츠시장 수출 확대를 위한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