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805~8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성인지 감수성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이에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 학부 교직과정에 있는 75명중 사전⋅사후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6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중 32명은 실험그룹으로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28명은 통제그룹으로 나뉘어져 진행되었다. 해당 교육프로그램은 4차시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 시행 직전과 직후에 사전⋅사후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응답은 기술통계, 공변량분산분석(ANCOVA),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성인지 감수성을 향상시켰다. 둘째,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성인지 감수성의 하위요소들 중 자기성찰, 비폭력, 성역할에 대한 개방성을 향상시켰다. 반면, 성정체성에 대한 개방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셋째,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통제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성인지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성역할 고정관념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전략을 구체화시키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용 성인지 감수성 교육프로그램 운영에서 고려사항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on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stereotypes.
Methods The responses of 60 preservice teachers who faithfully answered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s among 75 preservice teache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Of these, 32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8 preservice teacehrs were participated into a control group.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ver 4 sessions, and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immediately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covariate variance (ANC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gender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ly, th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improved preservice teachers' openness to self-reflection, non-violence, and gender roles among the sub-elements of gender sensitiv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nness to gender identity.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lowered the gender role stereotypes of preservice teache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and to make lower the gender role stereotyp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specified, and points to consider when planning and operating the program for preservice student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