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Call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Level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영숙 박관성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429~44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소명,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확인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진로소명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4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649명을 대상으로 진로소명,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자료 최종 634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0과 AMOS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소명과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는 각각의 두 변인 간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구조방정식의 결과는 진로소명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동기에, 진로동기는 진로결정수준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주며 동시에 진로소명이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경쟁모형보다 양호하였다. 또한 진로소명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취업준비하기 전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소명을 높이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를 순차적으로 높여서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도록 하는 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 calling and career decision-level with college students.
Methods Data from 649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ly, career calling, career decision-leve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ch other. Secondly, the model that career calling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level and career calling influenc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n influenced career motivation and finally influenced career decision-level was more appropriate than perfectly mediating model. Third, there wer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calling and career decision-level.
Conclusions It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a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raise their career calling before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to increas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by sequentially increasing thei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