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ase study about effect of a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인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371~38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시작하는 1학년 3월 첫째 주에 TPI를 사용하여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을 조사하고, 모두 이수하기 직전인 4학년 12월 기말고사 주에 다시 한번 TPI를 사용하여 교수관점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모두 두 그룹을 선정하였다. 그룹1은 2015년 1학년과 2018년 4학년일 때, 그룹2는 2016년 1학년과 2019년 4학년일 때로, 같은 교육과정이므로 동일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동질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1학년과 4학년에서 우세한 교수관점과 열세한 교수관점의 변화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연구대상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은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Method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aching perspective of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as investigated using TPI in the first week of the freshman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as investigated once again in the final exam week of December, the senior just before comple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groups, group 1 was the freshman in 2015 and the senior in 2018, group 2 was the freshman in 2016 and the senior in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chi-square homogeneity 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Results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numerical changes in teaching perspective,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Conclusions There are a numerical change on the superior and inferior teaching perspcetives of freshmen and seniors in both groups. However, the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of the study subjec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