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Grit, and Self-learning time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신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315~3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시기를 거치며 나타나는 교사애착관계와 그릿, 스스로 학습시간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YCPS 2018)의 중학생 3차년에 걸친 종단 패널자료를 대상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시간의 변화추이와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애착관계와 그릿은 그 수준이 점차 낮아졌으며, 스스로 학습시간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에 있어서 초기치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애착관계는 그릿과 스스로 학습시간에 영향을 미치며, 그릿은 스스로 학습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의 변화율에 따른 종단적 영향력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애착관계 변화율은 그릿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그릿은 교사애착관계와 스스로 학습시간 사이에서 유의한 종단적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학생의 스스로 학습시간에 미치는 교사애착관계와 그릿 사이의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 검증을 통해 스스로 학습시간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가져왔다. 더불어, 교사애착관계가 학생의 그릿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발견함을 통해 학생의 그릿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애착관계를 공고히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사와의 애착관계를 토대로 촉진되어진 그릿을 통해 학생의 스스로 학습시간이 원만히 형성될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grit, and self-learning time that appeared over the period from the 7th grade to the 9th grade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nd change over time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ere verified using the longitudinal panel data of middle school students over 3 year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YCPS 2018).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over time, the level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grit decreased gradually, and self-learning time increased gradu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itial valu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thre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ffects grit and self-learning time, and grit affects self-learning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ngitudinal influence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change in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grit. In addition, gr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self-learning time.
Conclusion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grit on self-learning tim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self-learning time was brough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o promote students’ grit by discovering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on students’ grit.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students can smoothly form their self-learning time through grit promoted by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