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rt Therapists’ Lived Experience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Institutionaliz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2호, 131~16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보호아동과의 치료적 관계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총 6명의 미술치료사와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본질적 주제들과 6개의하위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의 본질적 주제들은 첫째, ‘새로운 만남의 시작’ 둘째, ‘미술의 울타리 안에서 깊어지는 관계들’ 셋째, ‘헤어짐을 위한 준비’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설보호아동들과 인격적인 나-너 만남의 관계를 가진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시설 보호아동들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사랑의 관계를 형성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시설보호아동들과 미술작업을 매개로 한 지평융합의 상생관계를 맺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와 시설보호아동과의 치료적 관계의 의미를 생생히 전달함으로써, 시설보호아동에 대한 이해를높이고 시설보호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rt therapists’ experience on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terviews of 6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3 essential themes and 6 subthemes were defined. The essential themes were first, the beginning of new encounter; second, relationships deepening within the boundary of art; third, preparations for separa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have personal I-Thou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Second, the participants build up trust-based ethical love relationship with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ird, the participants form a win-win relationship of fusion of horizon through art-making with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trengthening the understanding on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providing core data for art therapy of the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