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ference explor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in psychoanalytic play therapy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치료연구』제13권 제2호, 35~6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 3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에서 부모와의 관계 경험이 아동의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치료과정 중 발생한 전이에 대한 치료자의 개입을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 학령기 아동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통제하고, 종속시키며, 비난하고, 거절하는 대상표상과 통제받고 요구에 따르며, 거부당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자기표상을 형성하였다. 둘째, 정신분석적 놀이치료과정에서 아동의 전이에 대해 치료자는 상상놀이에서 아동의 전이를 이해하고, 놀이에 참여하여(캐릭터의 역할 맡기) 아동에게 필요한 대상이 되어주고, 공감과 수용, 해석을 전달하여 아동이 새로운 관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부정적 전이와 저항을 해석하여 놀이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왔고, 드라마놀이 속에서 아동의 부정적인 전이에 따른 감정을 담아주고 치료자의 내적 기능으로 감정을 변형시켜 아동에게 되돌려 줌으로써 아동은 부정적 감정을 수용하고 감당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 학령기 아동에게 정신분석적 놀이치료를 실시했을 때, 아동의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에 영향을 주어 긍정적 관계 형성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ing at examining the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 experiences on children's self and object representations in psychoanalytic play therapy for three school-age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reviewing the therapist's intervention on the transference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chool-aged child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formed object representations of controlling, subordinating, blaming, and rejecting and self-representations of being controlled, obeying, and trying not to be reject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Secondly, about the child's transference during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the therapist understood the child's transference in imaginary play, participated in the play (taking the role of a character) and became an object needed for the child, and delivered empathy,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so that the child may experience new relationships. In addition, he/ she helped to restore the child's ability to play by interpreting negative transference and resistance, and contained the child's emotions according to the negative transference in drama play and transformed the emotions with the therapist's inner function and returned them to the child so that the child could accept and tolerate the negative emotions. In other wor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when psychoanalytic play therapy is conducted to school-age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positive relationship formation by influencing the child's self and object represen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에서 전이 분석 실제
Ⅲ.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