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as Mediating Fac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723~7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학업 능력과 학교적응을 이중매개로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에서 제공한 7차년도(2014), 8차년도(2015), 10차년도(2017)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43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Process Macro(Model 6)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학업 능력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때의 학업수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취학 후 학교적응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때의 학업수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학업 능력과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을 차례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령기 시기의 학업수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경험은 초등학교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놀이의 가치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의미를 되짚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and their performance at elementary school level academic performance with academic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as dual mediating factor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s seventh (2014), eighth (2015), and ten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as used. Data from a total of 438 children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rco(Model 6).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preschool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mediates their academic ability and that it significantly affects the academic performance when they are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preschool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when they are 3rd graders which was mediated by school adjustment during their first year in school. Third, the preschool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when they are in 3rd grade which was in turn mediated by the academic ability and the school adjustment during first grade.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preschool children's experiences of peer play interac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elementary school life.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examined the value of play in early childhood and the meaning of interaction with pe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