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olescents’ experience of Empathizing with Game Charact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539~5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8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게임 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 경험을 주제로 한 면담 및 참여관찰을 실시한 후, 그 내용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2개의 주제, 7개 상위범주, 26개 하위범주, 78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핵심 주제별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캐릭터 감정이입 유형에는 게임 상황에 따라 감정과 생각이 변화함,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넣음, 캐릭터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으로 나타났으며, 캐릭터 감정이입의 과정은 동기유발, 몰입과정, 과열/동화됨, 감정재구성 단계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들의 게임 내 캐릭터와의 상호작용과 감정이입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청소년의 게임 내 애착 또는 행동 유형 등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empathy for game characters.
Methods For this purpose, 8 adolescents were interviewed and Observation on the subject of empathy for game characters, and it is analyzed based on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8 meaning units, 26 subcategories and 7 top categories were drawn, and finally, two topics were generated as follows. a) Character empathy type: Changes in emotions and thoughts according to the game situation, Giving vitality to the character, Form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 b) The process of character empathy: Motivation, Flow, Assimilate, Emotional reconstru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xamined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game character interaction and empathy, and provided evidence for adolescents' game attachment and behavioral types in counseling and education scen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