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mong High school girls: Focusing on Relig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445~45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여고생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C도에 소재한 카톨릭계열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척도(MLQ), 자기자비척도(K-SCS)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자비가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Processmarco를 활용하여 분석한 후, 이러한 결과에 있어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자기자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자비는 의미추구보다는 의미발견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교가 있는 경우 두 변인 간 관계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반면 종교가 없는 경우 자기자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여고생이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자기자비가 높으며, 자기자비의 수용적인 태도는 의미발견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종교 유무에 따라 종교가 없는 경우에만 자기자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난 것은 삶의 의미발견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긴장과 고통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자기개념과 정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자비의 역할이 종교가 없는 경우 더욱 크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자비 증진을 통하여 삶의 의미발견을 도울 수 있는 교육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of high school girl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Meaning of Life Scale (MLQ) and Self-Compassion Scale (K-SCS) for 235 girls'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province C.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major variables, and Process-marco was used to analyze whether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Meaning than the Search for Meaning. Self-compass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in high school girls' lives. Third, in the presence of relig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whereas in the absence of religion, self-compassion was partially mediated, showing a differe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tendency of high school girls to pursue the meaning of life, the higher their self-compassion, and the receptive attitude of self-compassion can act as a factor that promotes the Presence of Meaning. Also,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found only in the absence of religion according to religious beliefs.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helping people maintain positive self-concepts and emotions and relieve tension and pai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absence of relig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