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tudent and School Fac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393~4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 하위영역(진로에 대한 계획성, 진로에 대한 자기이해)에 학생 특성 요인과 학교에서 운영하는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 활동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여,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8차년도(2019년, 고2)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학생이 상위 수준인 학교에 내재되어 있는 데이터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학생 특성 및 학교 수준의 요인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 수준에서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아개념, 학교만족도, 부모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 독서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수준에서 진로지도를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정책 사업 및 프로그램은 대부분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진로담당교사와의 진로상담은 진로성숙도에 부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관계와 진로집중과정 간의 정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과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areer maturity by exploring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heir sub-areas (planning for career, self-understanding of career) and career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activities operated by schools.
Methods Multi-level modeling(two-level) was applied to the 8th wave(2019, 11th grade) of data taken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maturity differs between schools. Second, the student-leve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included self-esteem, self-efficacy, social self-concept, school satisfaction, parent relations, peer relations, teacher relations, reading activities, and academic stress. Third, most of the policy projects and programs operated for career guidance at the school leve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areer maturity, but career counseling with career teacher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lanning. Fourth, this study confirmed the sta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acher relations and career concentration curriculum.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ctivating effective career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