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types of agreement between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on team effectiveness in online team learning at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273~2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 중 이루어진 온라인 팀 학습에서 구성원의 기여도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 평가를 실시하고, 그 두 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C 대학의 동일한 필수 교양 4개의 반에 속한 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16주간 온라인 팀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독립변인인 일치유형 집단은 팀 기여도 측정지로 분류하여 일치유형에 따라 4개의 집단(고고평가일치 집단, 자기과대평가 집단, 자기과소평가 집단, 저저평가일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인인 팀 효과성은 16주 차에 팀 효과성의 하위구인(팀 성과, 팀 몰입, 팀 만족)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고고평가일치 집단’과 ‘자기과소평가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팀 효과성 모든 하위구인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에 ‘저저평가일치 집단’과 ‘자기과대평가 집단’은 팀 효과성 모든 하위구인에서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팀 수업에서 교수자가 효율적인 팀 활동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에 따라 맞춤별 교수자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ypes of agreement of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on team effectiveness in the contribution evaluation for team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online team learning environment for 16 weeks on 173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the same four essential liberal arts classes of C University in Seoul.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agreement,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resultantly into four groups : agreement group in good score, over-estimator, under-estimator, and agreement group in bad score. Team effectivenes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was measured at week 16 through sub-constructs of team effectiveness (team performance, team commitment, team satisfaction).
Results A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 was found in all sub-constructs of team effectiveness than other groups between the ‘agreement group in good score’ and the ‘under-estimator’. On the other hand, the ‘agreement group in bad score’ and the ‘over-estimator’ showed low scores in all sub-constructs of team effectivenes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customized strategies of instruction was suggested and discussed according to the types of agreement of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to help instructors lead efficient team activities in team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