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ldhood Remote Education’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147~1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로 변화를 겪은 현직 유아교사들이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를 어떻게 이미지화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체험주의 입장에서 인간의 개념체계나 생각을 시도 있게 들여다보기 위해 활용되는 은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격교육의 경험을 지닌 유아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에서 유아교사는 ( )이다. 왜냐하면 ( )이기 때문이다.”로 구성된 문장완성형 은유 분석 질문지를 배부하여 온오프라인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엑셀로 정리한 후, 은유경향성과 은유유형을 밝히는 개념적 은유방법(Gok & Erdogan, 20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자들이 반복하여 읽으면서 분류, 범주화, 재범주화 등을 거쳐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현직 유아교사들은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를 로봇, 안내자, 연예인, 연구원, 만능, 리더, 가르치는 사람, 사라질 사람으로 이미지화 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유아 원격교육에서 자신들의 역할에 어려움과 한계를 인식함을 밝히고, 코로나 이후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undergone changes due to COVID-19 imag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mote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metapho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uman conceptual system and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ism.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72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mote education experience. The researcher distributed the research subject a sentence-completed metaphor analysis questionnaire, “In remote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s ( ). Because it is ( ).” After organizing the collected data in Excel, it was analyzed using the conceptual metaphor method(Gok & Erdogan, 2010) that revealed the metaphor tendency and metaphor type. While the researchers repeatedly read the data, the final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recategor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ing remote education as robots, guides, entertainers, researches, capable of doing anything, leaders, a person who teaches others, and people who would disappear.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their roles in early childhood remote education, and various implications were also provided for the new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hildhood remote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