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Affecting Factors for the Income and Farming Scale Using the Panel Model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정다은(Da-Eun Jung) 강창수(Chang-Soo Kang) 양성범(Sung-Bum Yang) 박용수(Yong-Soo Park)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1, No.4, 56~6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패널모형을 이용하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소득과 영농규모, 영농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패널분석방법 중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소득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남성, 자가영농영어자, 기혼자, 후계농업인으로 나타났다. 부모협농, 낙농이나 양계를 하는 경우, 졸업 당시 전공과 주재배 품목이 일치할 경우도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규모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가영농영어자, 미혼자, 부모협농, 수도작 재배, 양계로 나타났다. 의무영농이행을 잘 이행하는 요인은 남성, 자가영농영어자, 기혼자, 부모협농, 수도작 재배, 양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졸업생 및 재학생 관리 및 지원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ffecting factors on the income, farming scale, and farming implementation of graduates of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using panel model. For this, we used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among the panel analysis methods.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come were men, married people, and successive farmers. In the case of parents' cooperative farming, dairy farming or poultry farming, matching the major at the time of graduation with the main items, the income was also high.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farming scale were unmarried people, parents' cooperative farming, aquaculture cultivation, and poultry farming. The factors that implemented the mandatory farming implementation well were men, married people, parents' cooperative farming, aquaculture cultivation, and pig farm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help manage and support graduates and enrolle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