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Teachers Pass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chievement Pressure and Behavioral Regul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심(Jeongshim Park) 이아람(Ahram Lee) 박수원(Soowo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0호, 97~1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초등학교 6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이 지각한 교사특성(교사열정, 교사학생관계, 성취압력)과 청소년의 행동조절능력(노력조절, 시간관리, 도움구하기) 간의 종단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2차(2014년), 3차(2015년), 5차(2017년)연도까지 총 3차에 걸쳐 수집된 청소년 6,476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각각의 교사특성이 학생의 행동조절능력과 가지는 종단적 상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총 3번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사열정은 노력조절 및 도움구하기와 종단적 상호관계를 가졌으며, 시간관리는 교사열정을 예측하지 않으나 교사열정은 시간관리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생관계는 노력조절, 시간관리 및 도움구하기 모두와 정적 상호관계를 보였다. 반면, 성취압력의 경우 학생의 행동조절과 상호관계를 가지지 않았고, 오히려 노력조절과 도움구하기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열정과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가 청소년의 행동조절 능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이는 다시 교사에 대한 긍정적 지각에 영향을 미쳐 발달적 선순환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발달을 위해 성취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자신이 교육자로서 높은 열정을 지니고 있는지, 학생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haracteristics (teachers’ pass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adolescents ability to control behavior (effort control, time management, help-seeking).
Methods To this end, the data of 6,476 adolescents collected over a total of three years up to the second, third, and fifth rounds of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2013 were used and analyzed through the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 A total of three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teacher s characteristic and the student s behavioral control ability.
Results Teachers’ passion had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effort control and help-seeking, and time management did not predict teachers’ passion, but teachers’ passion predicted time management. Teacher-student relations showed positiv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effort control, time management, and help-seek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chievement pressure,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have a correlation with student behavioral control, but rather lowered effort control and help-seek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 the teacher passion perceived by adolescent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contribute to enhancing adolescents ability to control behavior, this again shows that it affect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to form a developmental virtuous cycle. Therefore, educators need to first look at whether they have high passion as an educator and what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is, rather than emphasizing achievemen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