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ri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life-str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진(Lee, Hyunjin) 조미래(Jo, Mirae) 강나경(Kang, Na-Kyung) 양준희(Yang, Joon-hee) 심혜인(Shim Hye-in) 황지혜(Hwang, Ji-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0호, 683~69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그릿, 대인관계유능성,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대상자는 U시 소재 2개 대학의 재학생으로 143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5일부터 11월 13일까지하였으며, 코로나-19 대유행과 감염병의 특성상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그릿(r=.361, p<.001), 대인관계유능성((r=.312,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생활스트레스(r=-.561, p<.001)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 결과 대인관계유능성(β=.229, p=.001), 생활스트레스(β=-.392, p<.001)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은 대학생활적응을 42.8% 설명하였다.
결론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인관계유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생활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상담과 교육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gri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life-stres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thods 143 students were extracted with convenience sampling from two universities in U city and included as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5 to November 13, 2021,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 using Google questionnaire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s. SPSS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nalyzed.
Resul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r=.361, p<.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r=.312, p<.001),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stress (r=-.561, p<.001). In the regression analysis, Interpersonal competence (β=.229, p= .001) and life-stress (β=-.392, p<.001) were found to be variable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was 42.8%.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coping with life-stress ar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adjustment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