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o What?” Exercise in First-Year University Writ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강혜규(Kang Hyekyu) 안서현(Ahn Seohyun) 남은혜(Nam Eunhy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3권 2호, 109~1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주제 선정 과정에서 ‘So what?’ 연습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습은 글쓰기 교육 이론에서 주제의 구체화와 의의 파악에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교재에서 도입된 사례는 없다. 이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주제를 진술할 때 자신의 관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신의 주제가 갖는 인식론적 가치나 현실적 효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활동은 주제 선정단계의 글쓰기 강의가 주제 탐색과 확정이라는 목표지향적 활동 위주로 이루어지는것을 지양하고, 학생이 자신이 선정한 주제의 의의를 상호 대화를 통해 확인하고 자기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글쓰기의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이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향후 수행할 본격적인 학술 글쓰기에서의 연구 주제의 정당화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으며, 주제 선정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전략을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 what?” exercises applied in the topic-setting stage of process-based writing classes. Repeating the “So what?” question has been shown by leading writing educators to help writers refine the topic and grasp the significance of the topic. Through this exercise, student writers can include their perspective in their topic statement and confirm the epistemological value or practical utility of their topic. This exercise allows professors to avoid focusing on goal-oriented activities, such as topic selection and confirmation in class, and enables students to research topics in detail, evaluate them intersubjectively, and have confidence in the topic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of writing. Student writers are also expected to learn how to justify their research claims in academic writing by participating in this exercise and to apply this method to their future academic writing.
목차
1. 서론
2. 예비적 고찰
3. ‘So what?’ 연습 활용 강의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