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Online Class Development of “Travel Korean” for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송은정(Song Eun-ju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3권 2호, 339~3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여행 한국어’ 과목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해 원격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여행 한국어 과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다양한 상황과여행 지역을 다루고 실제적인 듣기, 읽기 자료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또한 언어 지식을 학습하고 대화를 통해 언어 사용을 연습할 뿐 아니라 여행 정보와 문화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이러한 실제성을 반영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상황 학습이론의 원리를 적용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과목을 한 학기동안 수강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몰입도를 조사하였는데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은 각 콘텐츠에 대해서도 매우 유용하다고 인식했다. 이처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실제성을 확보한 수업은 학습자의 몰입과 만족을 높여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ravel Korean’ subject for Korean learners and to design classes. For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demand for travel Korean subjects was investigated for Korean learners at the cyber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was a high demand for practical listening and reading materials dealing with various situations and travel areas. In addition, there were demands for travel information and culture as well as learning language knowledge and practicing language use through dialogue. In order to effectively educate content reflecting this practicality, the educational content was constructed and the class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situated learning theory. The satisfaction and immersion of learners who took this designed subject for a semester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very high, and learners recognized that each content was very useful. In this way, classes that reflect learners’ needs and secure practicality can be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effects by increasing learners’ immersion and satisfac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