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ne Dust Generated during Cooking Indoors
- 발행기관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저자명
- 이종림(Jong-Lim Lee) 정재훈(Jae-Hoon Jung)
- 간행물 정보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제39권 제2호, 125~13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제어계측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조리 중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국내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고등어구이, 삼겹살 구이, 볶음밥 조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세 가지 조리에 따른 미세먼지 발생 특성을 검토하였다. 선정한 3가지 조리 중 고등어구이에서 가장 많은 미세먼지가 발생하였다. 또한, 3가지 조리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입경 10.0㎛, 2.5㎛의 비교적 큰 미세먼지의 발생량이 1.0㎛, 0.3㎛의 초미세먼지 발생량보다 많았다. 3가지 조리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바탕으로 평균 미세먼지 발생률을 산정하였으며, 이들 데이터는 미세먼지 발생에 따른 실내 공기질 평가 시뮬레이션에 기초 데이터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domestic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generated during cooking, we selected mackerel grilled, pork rib grilled, and fried rice cooking,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generation associated with the three cookings. Mackerel grills generated the most fine dust in the three selected cooking. In addition, the amount of fin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10.0 ㎛ and 2.5 ㎛ was more than the amount of ultra-fin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1.0 ㎛ and 0.3 ㎛ in all three cookings. The average fine dust generation r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indoor dust concentration of the three cooking, and these data can be effectively used as basic data for indoor air quality evaluation simula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fine dust.
목차
I. 서론
II. 실내 미세먼지 관련 방정식
III. 대상 실의 침착률, 침입계수
IV. 조리 종류에 따른 발생 미세먼지 거동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