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Learners’ Preference for Online Classes on Online Cours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ase of a General English Course at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인(Chong, Hyein) 우수정(Woo, Suju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2호, 257~2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양필수 영어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관련 선호도를 살펴보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수준, 영어 선호도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지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K 대학 학부생 870명이였으며 Google Forms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대응표본-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더 낮았지만 실제 교양영어수업의 만족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방식 만족도보다 실시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수업 선호도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높은 학생이 영어 수업 만족도가 더 높았다. 영어 수업 만족도에는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가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선호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긍정적 실시간 수업의 경험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이는 실제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방식 온라인 수업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learning for a general English course in Covid 19 situation, explore how online class preference affects degree of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lass and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age, instructor, English level, and English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K University who took the same compulsive general English cours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Google Forms questionnaire. This study processed an independent sample-t test, response sample-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discover the effect of bichronous online learning(blending of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on English class satisfac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observe the effect of online class pre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eference to online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nline learning, but in the case of their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ourse, satisfaction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nline class.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and general English class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erarchy of factors influencing English class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English preference, online class preferenc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교양영어 수업사례 소개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