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ajectories of the level of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latent profile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시현(Kim Si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367~3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행복감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을 확인하고, 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데이터의 9-11차년도(2016-2018)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의 행복감의 변화궤적을 추정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적용하였다.
결과 아동 행복감 변화 궤적에 대한 성장혼합모형 분석결과 세 개의 잠재집단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세 개의 집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집단 5%,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집단 7%, 초기치가 높고 지속적으로 상위 수준을 유지하는 고수준유지형 집단 88%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 분석 결과,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이 높고, 부모감독 수준이 높을수록 고수준유지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여아이고, 부모감독 수준이 낮을수록 감소형에 속할 승산이 높았다. 그리고 남아이고, 부모감독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행복감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atent groups depending on the trajectories of student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p classifications.
Methods Using data from 9th to 11th(2016-2018)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growth mixture modeling was applied to identify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the happiness of student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latent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tent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the level of children’s happiness, a decreasing group (5%), an increasing group (7%), and a high-level maintenance group (88%).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and parental monitoring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high-level group. Girls with a lower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decreasing group while boys with a high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increasing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promote the level of students’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