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 s Presentation of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stability and Maladaptive Self-focus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동신(Dong Shin Bae) 서영선(Young Seon Seo) 이아라(Ara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123~1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의 중간기제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전국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결측치를 제외한 33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자존감 불안정성 척도,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존감 불안정성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와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도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불안정성은 완전매개하였지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는 매개 하지 않았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가 이중매개 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고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하고 교육하는 데 있어, 이들의 자존감 불안정성을 낮추고,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를 감소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stability and maladaptive self-focu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intermediate mechanism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0 college students nationwide in September 2021, and 336 data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cale, self-esteem instability scale, maladaptive self-focus attention scale, and social anxie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Results First,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instability, maladaptive self-focusism,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self-esteem inst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self-focusism and social anxiety, and maladaptive self-focusism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self-esteem instability was completely mediated, and it was not mediated with maladaptive self-focusism.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self-esteem instability and maladaptive self-focusism were double mediat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that lower their self-esteem instability and reduce maladaptive self-focus attention can be effective in consulting and educat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high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